경기도민은 자신의 삶에 대해 자유>안정>영향력 순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유형별로는 ‘적극적 시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민의 자유, 안정에 대한 인식조사’에 담긴 내용으로, 경기연구원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적극적 시민, 혁신과 포용을 잇는 가교> 보고서를 발간하고 혁신적 포용국가를 이끌 적극적 시민의 중요성을 제안했다.
현 정부는 국가가 시민 모두에게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공정한 기회와 정의로운 결과를 보장하여 시민 모두가 미래를 위해 혁신하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안정과 자유를 갖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적극적 시민’을 필요로 하고 있다.
적극적 시민은 포용과 혁신의 위기를 해결하는 단초이므로,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내 적극적 시민의 현황과 함께 혁신 및 포용적 복지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지난 10월 만19세~59세 경기도민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0점 척도 조사 결과 경기도민은 자율성(6.68)>안정성(5.54)>영향력(4.60) 순으로 자신의 삶을 높게 평가했다.
자유, 안정, 영향력을 기준으로 총 8개 유형을 창출한 결과에서는 ‘적극적 시민’ 유형이 2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정과 자유는 6점 이상이되 영향력이 5점 이하인 ‘영향 부재’ 유형은 23.3%로 다음을 차지했다. 자유만 6점 이상인 ‘자유 국한’ 유형은 18.6%, 전 영역 5점 이하인 ‘소극적 시민’은 17.3%로 나타났다.
적극적 시민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7.3에 달하는 반면, 소극적 시민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3.6으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 시민은 또한, 다른 시민 유형에 비해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일하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와 몰입도 모두 높은 결과를 보인다.
포용적 복지와 기본소득에 대한 조사에서는 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일수록 복지확대를, 낮은 계층은 기본소득 도입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안정성이 높은 계층은 복지확대를 지지하고, 낮은 계층은 복지확대 및 기본소득 도입을 모두 지지하며,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계층은 기본소득 도입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왔다.
적극적 시민은 복지확대(66.2%)와 기본소득 도입(68.5%) 전부 지지하나, 반대로 소극적 시민은 기본소득 도입에만 높은 지지(61.5%)를 보인다.
보고서에 “경기도는 도정에 직접민주주의 원리를 실현하기 위해 더 많은 적극적 시민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으며, “포용적 복지정책과 기본소득 정책이 확대되는 만큼 적극적 시민성의 발전 가능성은 높다”고 정리돼 있다. <저작권자 ⓒ 더김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전체 뉴스 주간베스트
|